본문 바로가기

RUN-IT

(46)
UDP[User Datagram Protocol] WORLD! 안녕하세요! 장마가 지나가고- 오랜만에 미세먼지 없는 청량한 하늘이 보이네요 ;-D 자, 그럼 지금부터 UDP의 세상으로 들어가볼까요? 1. UDP 너란 녀석은!? UDP는 전송 프로토콜입니다. PORT 이야기를 하면서 잠깐 이야기가 나온 적이 있엇는데 기억하고 계신지 모르겟네요. UDP는 포트 번호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안정적이지 않고 패킷의 순서도 보장하지 않는 전송을 추구합니다. 즉, 최소한의 수고를 들여 데이터를 전달하는게 특징이죠! TCP는 신뢰성있는 전송을 지향하기때문에 패킷 손실이 있으면 손실된 부분을 다시 전송해야하는 의무가 있는 반면, UDP는 신뢰성있는 전송에는 신경 쓰지 않기 때문에 통신 중간에 손실에 대해서는 알지도 못하고 신경도 전혀 안쓴답니다. 통신 과정이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세계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침부터 비가 주륵주륵 내리는 날입니다. 간만에 내리는 이 비가 무더운 여름날을 잠시 식혀 주는 것 같습니다. 지난 2달간 끊임없이 달려왔는데... 오늘은 TCP의 세계에서 잠시 머리를 식혀 가려고 합니다.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주세요! 1. TCP의 꽃 3-way-handshaking TCP통신과 UDP 통신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신뢰성 통신이냐, 비신뢰성 통신이냐 입니다. TCP는 신뢰성 통신을 보장합니다. 이를 보장하기 위한 방식으로 바로 3-Way-Handshaking이란 방식을 사용합니다. 흔히 3-Way-Handshaking을 서로 악수를 한다라고 표현합니다. 예를들면 PC가 Server랑 통신을 하고 싶어합니다. PC : Server야 나랑 통신할래? Server : 응..
TCP와 UDP "온라인 게임이 버벅버벅 ""인터넷 하는데 깨짐 현상이" 아 물론 PC가 이상해서 그럴수도 있겠지만 올바르지 못한 통신방식을 선택한다면 이런 깝깝함을 불러올 수 있어요. 그럼 어떤 통신방식을 선택해야 잘했다고 소문이 날까요? 1. TCP 와 UDP통신방식에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데이터 전송의 신뢰를 보장하는 TCP와데이터 전송을 보장하진 않지만 처리 속도가 빠른 UDP가 있죠 이 둘은 머리구조부터가 다르게 생겼먹었습니다. 이 둘에게서 데이터를 받는다면 이런느낌이죠. 정상적인 패킷은 수신하는데 배송 속도가 넘나느린 TCP배송 속도는 겁나 빠른데 택배물이 정상적이지 않을 수 있는 UDP 아 그러니까 TCP는 뭔가 절차대로 챡챡챡 하나하나 꼼꼼하게 스텝바이스텝 밟아서 느린 느낌이라면, UDP는 처리속도 ..
포트[PORT]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돌아온 소우주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PORT(포트)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질까 합니다. 1. PORT(포트), 넌 누구니? 먼저, 위키 백과에 나온 정의를 한 번 볼까요? 포트는 운영 체제 통신의 종단점이다. 이 용어는 하드웨어 장치에도 사용되지만, 소프트웨어에서는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 단위이다. 사용법 : URI 문법에 의해서 사용 및 표기할 수 있으며, IP 주소와 함께 표기하는 예는 다음과 같다. ftp://000.000.000.000:21 여기서 000.000.000.000은 IP 주소를 나타내며 : 다음의 21이 포트 번호를 의미한다. 정의라 그런지, 말이 좀 딱딱하죠? 아래에서 풀어서 이야기를 해보아요^^ 2. PORT(포트), 언제 사용..
네트워크 통신과정(feat. ARP vs Routing) 안녕하세욧! 런잇메이트입니다. 그동안 약 2달간 우리는 통신과정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내용에 대해서 다루었습니다. 케이블, MAC주소, IP주소, ARP테이블, Routing 등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이 모든것을 종합하여 기본적인 네트워크 통신에 대해서 다루어 보고 마지막에는 ARP와 Routing이 어떻게 다른 것인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너에게 닿기를... 네트워크를 쉽게 상대방에게 우편을 보낸다고 생각하면 되요 1) 길고긴밤을 보내던 AA는 DD에게 편지를 보내고 싶었습니다.. 그러나 AA는 DD에게 직접 편지를 전달할 수 없었죠 여기서 AA, DD는 MAC주소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2) DD에게 직접 편지를 전달 할 수 없었던 AA는 걱정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걱정할 필요가 없죠 우리..
라우팅 (Routing) 해당 글 포스팅은 IP와 아주 많이 연관되어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혹시라도 IP를 모르신다면 글 구독에 앞서 IP에 대해 한번 보는 걸 정중하게 강요드립니다. ;D http://run-it.tistory.com/14?category=665122 1. 라우팅과 라우팅 테이블이란? IP가 네트워크 장치가 갖는 고유의 주소라고 하면 라우팅은 그 주소를 찾아가는 과정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어떤 목적지를 찾아가기 위해 표지판을 보거나, 지도를 보듯 네트워크 장비도 똑같이 목적지를 찾아가기 위해 표지판 또는 지도를 보는데, 얘들이 보는 것은 라우팅 테이블이라고 하죠. 네트워크 장비들은 모두 이러한 라우팅 테이블을 하나씩 들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 사용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잠깐, 네트워크 장..
MAC주소와 IP주소의 연결고리 ARP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주소를 가지고 택배를 보내기도, 받기도, 편지를 쓰기도, 받기도 합니다. 이처럼 일상생활에서 주소가 쓰이듯이 인터넷 즉 네트워크 상에서도 주소를 사용해서 서로 통신을 합니다. 이전 글에서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주소를 다루었습니다. 기억나시죠? MAC주소와 IP주소! (기억이 안나신다면 앞에 글을 다시 봐주세요..) 그럼 MAC주소가 무엇인지... IP주소가 무엇인지 대충은 알겠는데 이것으로 어떻게?? 통신을 한다는 것인지? 이번에는 이 두개의 주소를 가지고 어떻게 통신을 하는 것인지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MAC 주소와 IP주소를 매칭 시키기 위해서는 ARP프로토콜을 사용하는데 그래서 이번 글은 ARP를 얘기해 보려고 합니다. 1. ARP란 무엇인가? ARP(Address Reso..
IP 주소 (IP address) 1. IP란? 인터넷 게시판을 보다보면, “IP 가 똑같네, 주작이네 주작이여 날아올라라” 라는 말 들어본 적 있을거예요. 예, 맞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여기서 나오는 “IP”입니다. 그렇다면 IP란 무엇이길래 익명의 사용자가 동일한 사람인 것을 알 수 있는 것일까요? IP란 컴퓨터가 통신을 하기 위해 꼭 가져야 하는 “고유한 주소”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IP가 똑같은 사람은 똑같은 컴퓨터 또는 장소에서 글을 썼다는 얘기가 되죠. 컴퓨터 뿐만 아니라 스위치, 서버, 스마트 폰 등 모든 기계가 인터넷 또는 통신을 하기 위해선 “고유한 주소”를 가져야 합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IP버전은 버전 4(IPv4), 버전 6(IPv6) 있으며, 압도적으로 버전 4를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오늘은 버전 4를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