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SI 7계층

(44)
TCP와 UDP "온라인 게임이 버벅버벅 ""인터넷 하는데 깨짐 현상이" 아 물론 PC가 이상해서 그럴수도 있겠지만 올바르지 못한 통신방식을 선택한다면 이런 깝깝함을 불러올 수 있어요. 그럼 어떤 통신방식을 선택해야 잘했다고 소문이 날까요? 1. TCP 와 UDP통신방식에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데이터 전송의 신뢰를 보장하는 TCP와데이터 전송을 보장하진 않지만 처리 속도가 빠른 UDP가 있죠 이 둘은 머리구조부터가 다르게 생겼먹었습니다. 이 둘에게서 데이터를 받는다면 이런느낌이죠. 정상적인 패킷은 수신하는데 배송 속도가 넘나느린 TCP배송 속도는 겁나 빠른데 택배물이 정상적이지 않을 수 있는 UDP 아 그러니까 TCP는 뭔가 절차대로 챡챡챡 하나하나 꼼꼼하게 스텝바이스텝 밟아서 느린 느낌이라면, UDP는 처리속도 ..
포트[PORT]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돌아온 소우주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PORT(포트)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질까 합니다. 1. PORT(포트), 넌 누구니? 먼저, 위키 백과에 나온 정의를 한 번 볼까요? 포트는 운영 체제 통신의 종단점이다. 이 용어는 하드웨어 장치에도 사용되지만, 소프트웨어에서는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 단위이다. 사용법 : URI 문법에 의해서 사용 및 표기할 수 있으며, IP 주소와 함께 표기하는 예는 다음과 같다. ftp://000.000.000.000:21 여기서 000.000.000.000은 IP 주소를 나타내며 : 다음의 21이 포트 번호를 의미한다. 정의라 그런지, 말이 좀 딱딱하죠? 아래에서 풀어서 이야기를 해보아요^^ 2. PORT(포트), 언제 사용..
네트워크 통신과정(feat. ARP vs Routing) 안녕하세욧! 런잇메이트입니다. 그동안 약 2달간 우리는 통신과정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내용에 대해서 다루었습니다. 케이블, MAC주소, IP주소, ARP테이블, Routing 등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이 모든것을 종합하여 기본적인 네트워크 통신에 대해서 다루어 보고 마지막에는 ARP와 Routing이 어떻게 다른 것인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너에게 닿기를... 네트워크를 쉽게 상대방에게 우편을 보낸다고 생각하면 되요 1) 길고긴밤을 보내던 AA는 DD에게 편지를 보내고 싶었습니다.. 그러나 AA는 DD에게 직접 편지를 전달할 수 없었죠 여기서 AA, DD는 MAC주소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2) DD에게 직접 편지를 전달 할 수 없었던 AA는 걱정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걱정할 필요가 없죠 우리..
라우팅 (Routing) 해당 글 포스팅은 IP와 아주 많이 연관되어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혹시라도 IP를 모르신다면 글 구독에 앞서 IP에 대해 한번 보는 걸 정중하게 강요드립니다. ;D http://run-it.tistory.com/14?category=665122 1. 라우팅과 라우팅 테이블이란? IP가 네트워크 장치가 갖는 고유의 주소라고 하면 라우팅은 그 주소를 찾아가는 과정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어떤 목적지를 찾아가기 위해 표지판을 보거나, 지도를 보듯 네트워크 장비도 똑같이 목적지를 찾아가기 위해 표지판 또는 지도를 보는데, 얘들이 보는 것은 라우팅 테이블이라고 하죠. 네트워크 장비들은 모두 이러한 라우팅 테이블을 하나씩 들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 사용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잠깐, 네트워크 장..
MAC주소와 IP주소의 연결고리 ARP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주소를 가지고 택배를 보내기도, 받기도, 편지를 쓰기도, 받기도 합니다. 이처럼 일상생활에서 주소가 쓰이듯이 인터넷 즉 네트워크 상에서도 주소를 사용해서 서로 통신을 합니다. 이전 글에서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주소를 다루었습니다. 기억나시죠? MAC주소와 IP주소! (기억이 안나신다면 앞에 글을 다시 봐주세요..) 그럼 MAC주소가 무엇인지... IP주소가 무엇인지 대충은 알겠는데 이것으로 어떻게?? 통신을 한다는 것인지? 이번에는 이 두개의 주소를 가지고 어떻게 통신을 하는 것인지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MAC 주소와 IP주소를 매칭 시키기 위해서는 ARP프로토콜을 사용하는데 그래서 이번 글은 ARP를 얘기해 보려고 합니다. 1. ARP란 무엇인가? ARP(Address Reso..
IP 주소 (IP address) 1. IP란? 인터넷 게시판을 보다보면, “IP 가 똑같네, 주작이네 주작이여 날아올라라” 라는 말 들어본 적 있을거예요. 예, 맞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여기서 나오는 “IP”입니다. 그렇다면 IP란 무엇이길래 익명의 사용자가 동일한 사람인 것을 알 수 있는 것일까요? IP란 컴퓨터가 통신을 하기 위해 꼭 가져야 하는 “고유한 주소”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IP가 똑같은 사람은 똑같은 컴퓨터 또는 장소에서 글을 썼다는 얘기가 되죠. 컴퓨터 뿐만 아니라 스위치, 서버, 스마트 폰 등 모든 기계가 인터넷 또는 통신을 하기 위해선 “고유한 주소”를 가져야 합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IP버전은 버전 4(IPv4), 버전 6(IPv6) 있으며, 압도적으로 버전 4를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오늘은 버전 4를 기..
MAC 주소 (MAC Address) 화창한 어느날, 아리밤과 채팅중인 소우주. 파일을 전송하는 그 순간! 패킷 전달자가 된 소우주! 소우주 : 아리밤님! 거의 다 왔어요!! 몇 번 포트로 들어가면 되나요? 아리밤 : 40:61:86:CF:1C:E6 찾았어? 14번포트로 와~ 소우주 : ........ (PACKET DROP) 1. MAC Address란??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통신을 위해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 다시 말하자면, 네트워크 장비의 고유 식별자이며 48bit입니다. 2진수 4자리를 하나로 묶어서 16진수로 표시됩니다. 아래 그림을 볼까요? 위 PC의 mac 주소를 보면 40:61:86:CF:1C:E6 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좀 더 자세히 볼까요? mac 주소를 위의 그림과 같이 크게 2부분으로 나누어 볼 ..
HUB? BRIDGE? SWITCH? 누구냐 넌? 2048년 어느 산골 깊은곳... 소우주 : 나는 30년간 매일 이곳에 갇혀있다... 누군가 온다... 익숙한향... 어김없는 만두냄새... XX : 소우주 점심이다 소우주 : 누구냐 넌!! 정체를 밝혀라!!! HUB냐 SWITCH냐!! 뒷모습만 보이는 누군가... 잠에서 깬 소우주... 책상에는 HUB와 SWITCH만이... Layer 2 데이터링크 계층에는 대표적으로 BRIDGE, SWITCH 등의 장비가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간략하게 이러한 장비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HUB란? HUB는 2계층 장비는 아니지만 흔히 사무실이나 가정내에서 소규모의 네트워크끼리 통신을 하기위해 자주 사용합니다. 또한 먼거리의 장비를 연결 시키기 위해 예를들어 사무실의 PC와 전산실의 스위치간을 연결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