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게임이 버벅버벅 "
"인터넷 하는데 깨짐 현상이"
아 물론 PC가 이상해서 그럴수도 있겠지만
올바르지 못한 통신방식을 선택한다면 이런 깝깝함을 불러올 수 있어요.
그럼 어떤 통신방식을 선택해야 잘했다고 소문이 날까요?
1. TCP 와 UDP
통신방식에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데이터 전송의 신뢰를 보장하는 TCP와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진 않지만 처리 속도가 빠른 UDP가 있죠
이 둘은 머리구조부터가 다르게 생겼먹었습니다.
이 둘에게서 데이터를 받는다면 이런느낌이죠.
정상적인 패킷은 수신하는데 배송 속도가 넘나느린 TCP
배송 속도는 겁나 빠른데 택배물이 정상적이지 않을 수 있는 UDP
아 그러니까
TCP는 뭔가 절차대로 챡챡챡 하나하나 꼼꼼하게 스텝바이스텝 밟아서 느린 느낌이라면,
UDP는 처리속도 끝내주는 개판 느낌이죠.
초록 머리 캐릭터는 UDP, 검정 가운은 TCP로 비교할 수 있겠네요.
게임은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데이터가 즉각적으로 반영되어야하는데,
신뢰성을 보장한답시고 1번패킷 왔네 2번은 왜 안오네 하면 사용자 속터지죠
게임은 패킷이 정상적으로 도착하지 않아 얼굴색 반짝반짝거려도 빨리 움직여야합니다.
즉, 게임처럼 실시간으로 정보가 갱신되어야하는 서비스는 UDP 통신방식을 사용해야합니다.
<<인터넷 서비스 적용>>
인터넷을 통해 기차를 예약하려고 합니다.
예약 시스템은 속도보다는 정확성이 중요하죠
만약 UDP 통신을 하게 된다면
정보가 제대로 출력이 되지 않을 수 있죠
그렇기 때문에 속도보다는 정확도를 요구할 수 있는 인터넷 같은 서비스는 TCP를 사용해야 합니다.
'OSI 7계층 > [LAYER 4] 전송 계층'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Domain Name Service] (0) | 2018.10.07 |
---|---|
UDP[User Datagram Protocol] WORLD! (0) | 2018.07.08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세계 (0) | 2018.07.01 |
포트[PORT]에 대하여 (1) | 2018.06.17 |